벨기에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기에의 총리는 벨기에의 행정 수반이며, 1918년 공식 문서에서 처음 사용된 직함이다. 1830년 벨기에 독립 이후, 내각을 구성하는 장관 중 한 명이 형성자로 임명되었으나, 1차 세계 대전 이후 연립 정부가 보편화되면서 국무총리가 실제 정부 수반으로 인식되었다. 총리는 연정 협약 집행, 각료 회의 주재, 대외 정부 대표, 국왕과의 연락, 의회에 정책 성명 제출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연방 선거 후 임명 절차를 거쳐 취임한다. 벨기에 총리의 공식 집무실은 브뤼셀 루 드 라 루아 16번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 정부 - 플란데런 지역
플란데런 지역은 벨기에를 구성하는 3개의 지역 중 하나로, 브뤼셀을 의회 소재지로 두고 네덜란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플람스어 공동체와 지역 정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다양한 정책을 담당하고, 5개의 주로 구성되어 플라망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며 국제 교류가 활발하다. - 벨기에 정부 - 플람스 정부
플람스 정부는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의 행정부로서 선거 결과에 따라 구성되는 연립 정부 형태로 운영되며, 현재는 마티아스 디펜달 정부가 플람스 공공 행정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 벨기에의 총리 - 샤를 미셸
샤를 미셸은 벨기에 정치인으로, 벨기에 총리와 유럽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며 연금 및 노동법 개혁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적 현안에 대처하며 유럽 연합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 벨기에의 총리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벨기에의 정치가이자 법학자인 오귀스트 베르나르트는 공공사업부 장관과 총리 겸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고,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벨기에 대표로 활동하며 상설 중재 재판소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벨기에 - 샤를 미셸
샤를 미셸은 벨기에 정치인으로, 벨기에 총리와 유럽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며 연금 및 노동법 개혁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코로나19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적 현안에 대처하며 유럽 연합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 벨기에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벨기에의 정치가이자 법학자인 오귀스트 베르나르트는 공공사업부 장관과 총리 겸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고,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벨기에 대표로 활동하며 상설 중재 재판소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벨기에의 총리 | |
---|---|
직위 정보 | |
직위명 | 벨기에 총리 |
소속 국가 | 벨기에 |
원어 명칭 | |
정부 상징 | 국장 |
![]() | |
정부 깃발 | 벨기에 정부 깃발 |
![]() | |
현직 | 알렉산더르 더크로 |
현직 취임일 | 2020년 10월 1일 |
소속 부서 | 벨기에 연방 정부 행정부 |
호칭 | 총리님 (비공식) 각하 (외교) |
구성원 | 벨기에 연방 내각 유럽 이사회 |
관저 | "르 람베르몽", 브뤼셀 |
소재지 | 브뤼셀 데 라 루아 거리 16번지 |
임명권자 | 벨기에 국왕 |
임기 | 제한 없음 |
설립 | 1831년 2월 26일 (사실상) 1918년 (법률상) |
초대 총리 | 에티엔 드 제를라슈 |
비공식 명칭 | 벨기에 총리 |
연봉 | 236,900 유로 |
웹사이트 | premier.be |
정치 |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
주소 | |
주소 | 16 Wetstraat, 1000 브뤼셀 |
임명 | |
임명권자 | 벨기에 국왕 |
기타 | |
스타일 | 총리 (비공식) 각하 (외교) |
2. 역사
1790년, 벨기에 연합주 주권 회의가 브뤼셀에서 열렸으며 8개 주 대표들로 구성되었다. 앙리 반 데르 노트는 국민 회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이전에는 브라반트 전권대신 직함을 맡았었기에 전권대신 직함을 유지했다. 이 직함은 벨기에가 오스트리아에 의해 재정복될 때 사라졌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투표권 확대와 벨기에 사회당을 비롯한 여러 정당들의 의회 진출로 연립 정부 구성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정부 구성 임무를 맡은 형성자의 권위와 명성이 높아졌고, 이는 곧 총리직의 부상으로 이어졌다. 다양한 정당 출신 장관들의 회의를 조정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총리는 실질적인 정부 수반으로 인식되었다.[1]
20세기 전반기에 내각 수장이 국왕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총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헌법상 국왕은 장관을 통해 권한을 행사하므로, 총리는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인물이자 사실상의 행정 수반으로 여겨졌다.[1]
'국무총리' 또는 '수상'이라는 직함은 1918년 공식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70년 벨기에 헌법에 벨기에의 국가 개혁을 통해 명문화되었다.[1]
2. 1. 벨기에 독립 초기 (1830-1918)
벨기에 독립 이후, 정부는 정부를 구성한 장관의 이름으로 형성자로 지정되었지만, 그 직위는 특별한 지위를 갖지 않았다.[1] 원래 1831년부터 벨기에 군주국의 벨기에 국왕이 각료 회의를 주재했지만, 국왕 부재 시에는 '셰프 드 카비네'(내각 수장), 보통 가장 나이가 많거나 영향력 있는 장관이 회의를 주재했다.[1] 이 직위는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이 직함을 가진 장관은 곧 각료들 간의 다양한 부처 배분 계획을 국왕에게 제출할 권한을 얻었다.[1]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투표권이 확대되면서 벨기에 사회당을 비롯한 더 많은 정당들이 의석을 확보하기 시작했고, 이는 의회에서 절대 다수를 확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1] 그 이후로 연립 정부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는 임명된 형성자가 정부를 구성하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 결과적으로 형성자는 점점 더 존경과 명성을 얻게 되었다.[1] 따라서 형성자는 지도력의 지위로 부상했다.[1] 정부의 장관들이 이제 다양한 정당을 대표하게 되면서, 다양한 장관들의 회의를 조정할 사람이 필요했다.[1] 국무총리는 이제 실제 정부 수반으로 인식되었고, 이것이 국무총리 직함이 생겨난 배경이다.[1]
점차, 20세기 전반기에 내각 수장이 국왕을 대신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면서, 정부 내에서 중요성이 커졌다.[1] 헌법은 국왕이 장관을 통해 권한을 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무총리는 이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인물이자 ''사실상'' 행정 수반으로 여겨졌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 얻은 중요성을 감안하여, 내각의 일원으로서 내각 수장은 계속해서 장관 부서를 이끌었다.[1]
''국무총리'' 또는 ''수상''이라는 직함은 1918년 공식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에 해당 직함은 자체 내각에 배정되었다.[1]
2. 2. 양차 세계 대전 시기 (1918-197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투표권이 확대되면서 벨기에 사회당을 비롯한 더 많은 정당들이 의석을 확보하기 시작했고, 이는 의회에서 절대 다수를 확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1] 그 이후로 연립 정부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는 임명된 형성자가 정부를 구성하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 결과적으로 형성자는 점점 더 존경과 명성을 얻게 되었다.[1] 따라서 형성자는 지도력의 지위로 부상했다.[1] 정부의 장관들이 이제 다양한 정당을 대표하게 되면서, 다양한 장관들의 회의를 조정할 사람이 필요했다.[1] 국무총리는 이제 실제 정부 수반으로 인식되었고, 이것이 국무총리 직함이 생겨난 배경이다.[1]점차, 20세기 전반기에 내각 수장이 국왕을 대신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면서, 정부 내에서 중요성이 커졌다.[1] 벨기에 헌법은 국왕이 장관을 통해 권한을 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무총리는 이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인물이자 ''사실상'' 행정 수반으로 여겨졌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 얻은 중요성을 감안하여, 내각의 일원으로서 내각 수장은 계속해서 장관 부서를 이끌었다.[1]
''국무총리'' 또는 ''수상''이라는 직함은 1918년 공식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에 해당 직함은 자체 내각에 배정되었다.[1] 1970년에야 이 직함은 벨기에 헌법의 벨기에의 국가 개혁을 통해 헌법에 포함되었다.[1]
2. 3. 헌법 명문화 및 현대 (1970-현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투표권이 확대되면서 벨기에 사회당을 비롯한 더 많은 정당들이 의석을 확보하기 시작했고, 이는 의회에서 절대 다수를 확보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1] 이는 연립 정부가 필요하게 되었고, 임명된 형성자가 정부를 구성하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1] 결과적으로 형성자는 점점 더 존경과 명성을 얻게 되었고, 지도력의 지위로 부상했다.[1] 정부의 장관들이 이제 다양한 정당을 대표하게 되면서, 다양한 장관들의 회의를 조정할 사람이 필요했고, 국무총리는 이제 실제 정부 수반으로 인식되었다.[1]20세기 전반기에 내각 수장이 국왕을 대신하는 경우가 더 많아지면서, 정부 내에서 중요성이 커졌다.[1] 헌법은 국왕이 장관을 통해 권한을 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무총리는 이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인물이자 ''사실상'' 행정 수반으로 여겨졌다.[1]
''국무총리'' 또는 ''수상''이라는 직함은 1918년 공식 문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에 해당 직함은 자체 내각에 배정되었다.[1] 1970년에야 이 직함은 벨기에 헌법의 벨기에의 국가 개혁을 통해 헌법에 포함되었다.[1]
3. 역할 및 권한
정부 정책 조율 외에도 총리는 연정 협약의 적절한 집행을 책임진다. 총리는 또한 각료회의를 주재하고 장관 간의 권한 갈등을 관리한다. 또한 총리는 국내외에서 정부 연정을 대외적으로 대표한다. 총리는 국왕과 연락을 유지하고 정부 정책 성명을 의회에 제출한다. 총리는 또한 의회에 신임 투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건설적 불신임 투표의 경우 정부의 사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총리가 개인적인 문제로 사임하지 않는 한, 총리의 사임과 함께 정부 전체가 사임한다. 총리는 또한 외무부 장관과 함께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벨기에를 대표한다. 국가 개혁으로 인해 총리는 국가의 서로 다른 지역 및 공동체 간의 관계를 관리하고 모든 연방 실체의 정부 대표로 구성된 심의 위원회를 주재하는 등 여러 가지 추가적인 임무를 맡게 되었다.
총리는 프랑스어와 네덜란드어에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의무 사항은 아니다.
4. 임명 절차
연방 선거 다음 날, 현직 총리는 국왕에게 내각의 사임을 제안한다. 국왕은 사임하는 내각에게 새 내각이 구성될 때까지 과도 내각으로 남을 것을 요청한다. 그 후 국왕은 새로운 내각을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러 저명한 정치인과 면담한다. 그는 일반적으로 하원 의장과 상원 의장, 주요 정당 대표, 기타 정치 및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인물들과 면담한다.[3]
면담 후 국왕은 새로운 내각 구성을 위한 각 정당의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맡은 ''인포르마퇴르''(informateur)를 임명한다. ''인포르마퇴르''는 면담후 국왕에게 보고하고, 국왕은 정부 구성을 책임지는 적절한 ''포르마퇴르''(formateur)를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방 정부의 ''포르마퇴르''가 총리가 된다.[3]
''포르마퇴르''가 정부 구성을 위한 공식적인 국왕 초대를 수락하기까지 보통 수개월의 협상이 필요하다. 헌법에 따라 국왕의 행위는 장관의 부서명 없이는 유효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퇴임하는 총리는 새 총리의 임명장에 부서명하고, 새 총리는 사임하는 총리의 사임장에 부서명한다. 국왕은 그 후 연방 정부의 다른 장관과 국무 장관을 임명하며, 그들의 임명장은 총리가 부서명한다.[3]
5. 역대 총리 목록
대 |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1 | 에티엔 드 제를라슈 | 1831년 2월 26일 | 1831년 3월 23일 | 가톨릭 계열 |
2 | 조제프 르보 | 1831년 3월 23일 | 1831년 7월 21일 | 자유주의 |
3 | 펠릭스 드 뮈엘레나레 | 1831년 7월 24일 | 1832년 10월 20일 | 가톨릭 계열 |
4 | 알베르 조제프 고블레 달비엘라 | 1832년 10월 20일 | 1834년 8월 4일 | 자유주의 |
5 | 바르텔레미 드 퇼 데 메이란트 | 1834년 8월 4일 | 1840년 4월 18일 | 가톨릭 계열 |
6 | 조제프 르보 (2기) | 1840년 4월 18일 | 1841년 4월 13일 | 자유주의 |
7 | 장바티스트 노통 | 1841년 4월 13일 | 1845년 7월 30일 | 자유주의 |
8 | 실뱅 반 데 베이어 | 1845년 7월 30일 | 1846년 3월 31일 | 자유주의 |
9 | 바르텔레미 드 퇼 데 메이란트 (2기) | 1846년 3월 31일 | 1847년 8월 12일 | 가톨릭 계열 |
10 | 샤를 로지에 | 1847년 8월 12일 | 1852년 10월 31일 | 자유주의 |
11 | 앙리 드 브루케르 | 1852년 10월 31일 | 1855년 3월 30일 | 자유주의 |
12 | 피에르 드 데케르 | 1855년 3월 30일 | 1857년 11월 9일 | 가톨릭 계열 |
13 | 샤를 로지에 (2기) | 1857년 11월 9일 | 1868년 1월 3일 | 자유주의 |
14 | 발테르 프레르오르반 | 1868년 1월 3일 | 1870년 7월 2일 | 자유주의 |
15 | 쥘 다네탕 | 1870년 7월 2일 | 1871년 12월 7일 | 가톨릭 계열 |
16 | 바르텔레미 드 퇼 데 메이란트 (3기) | 1871년 12월 7일 | 1874년 8월 21일 | 가톨릭 계열 |
17 | 쥘 말루 | 1874년 8월 21일 | 1878년 6월 19일 | 가톨릭 계열 |
18 | 발테르 프레르오르반 (2기) | 1878년 6월 19일 | 1884년 6월 16일 | 자유주의 |
19 | 쥘 말루 (2기) | 1884년 6월 16일 | 1884년 10월 26일 | 가톨릭 계열 |
20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 1884년 10월 26일 | 1894년 3월 26일 | 가톨릭 계열 |
21 | 쥘 드 뷔를레 | 1894년 3월 26일 | 1896년 2월 25일 | 가톨릭 계열 |
22 | 폴 드 스메 드 네이에르 | 1896년 2월 25일 | 1899년 1월 24일 | 가톨릭 계열 |
23 | 쥘 반덴페르붐 | 1899년 1월 24일 | 1899년 8월 5일 | 가톨릭 계열 |
24 | 폴 드 스메 드 네이에르 (2기) | 1899년 8월 5일 | 1907년 5월 2일 | 가톨릭 계열 |
25 | 쥘 드 트루아 | 1907년 5월 2일 | 1908년 1월 9일 | 가톨릭 계열 |
26 | 프랑수아 쇼라에르 | 1908년 1월 9일 | 1911년 6월 17일 | 가톨릭 계열 |
27 | 샤를 드 브로크빌 | 1911년 6월 17일 | 1918년 6월 1일 | 가톨릭 계열 |
28 | 제라르 코레만 | 1918년 6월 1일 | 1918년 11월 21일 | 가톨릭 계열 |
29 | 레옹 드라크루아 | 1918년 11월 21일 | 1920년 11월 20일 | 가톨릭 계열 |
30 | 앙리 카르통 드 비아르 | 1920년 11월 20일 | 1921년 12월 16일 | 가톨릭 계열 |
31 | 조르주 튀니스 | 1921년 12월 16일 | 1925년 5월 13일 | 가톨릭 계열 |
32 | 알로이스 판 데 피베레 | 1925년 5월 13일 | 1925년 6월 17일 | 가톨릭 계열 |
33 | 프로스페르 풀레 | 1925년 6월 17일 | 1926년 5월 20일 | 가톨릭 계열 |
34 | 앙리 자스파르 | 1926년 5월 20일 | 1931년 6월 6일 | 가톨릭 계열 |
35 | 쥘 랑킨 | 1931년 6월 6일 | 1932년 10월 22일 | 가톨릭 계열 |
36 | 샤를 드 브로크빌 (2기) | 1932년 10월 22일 | 1934년 11월 20일 | 가톨릭 계열 |
37 | 조르주 튀니스 (2기) | 1934년 11월 20일 | 1935년 3월 25일 | 가톨릭 계열 |
38 | 파울 판 젤란트 | 1935년 3월 25일 | 1937년 11월 24일 | 가톨릭 계열 |
39 | 폴에밀 장송 | 1937년 11월 24일 | 1938년 5월 15일 | 자유주의 |
40 | 폴앙리 스파크 | 1938년 5월 15일 | 1939년 2월 22일 | 사회주의 |
41 | 위베르 피에를로 | 1939년 2월 22일 | 1945년 2월 12일 | 가톨릭 계열 |
42 | 아킬 반 아케르 | 1945년 2월 12일 | 1946년 3월 13일 | BSP-PSB |
43 | 폴앙리 스파크 (2기) | 1946년 3월 13일 | 1946년 3월 31일 | BSP-PSB |
44 | 아킬 반 아케르 (2기) | 1946년 3월 31일 | 1946년 8월 3일 | BSP-PSB |
45 | 카미유 위스만 | 1946년 8월 3일 | 1947년 3월 20일 | BSP-PSB |
46 | 폴앙리 스파크 (3기) | 1947년 3월 20일 | 1949년 8월 11일 | BSP-PSB |
47 | 가스통 에이스켄스 | 1949년 8월 11일 | 1950년 6월 8일 | PSC-CVP |
48 | 장 뒤뷔지에 | 1950년 6월 8일 | 1950년 8월 16일 | PSC-CVP |
49 | 조제프 폴리앙 | 1950년 8월 16일 | 1952년 1월 15일 | PSC-CVP |
50 | 장 반 우트 | 1952년 1월 15일 | 1954년 4월 23일 | PSC-CVP |
51 | 아킬 반 아케르 (3기) | 1954년 4월 23일 | 1958년 6월 26일 | BSP-PSB |
52 | 가스통 에이스켄스 (2기) | 1958년 6월 26일 | 1961년 4월 25일 | PSC-CVP |
53 | 테오 레페브르 | 1961년 4월 25일 | 1965년 7월 28일 | PSC-CVP |
54 | 피에르 아르멜 | 1965년 7월 28일 | 1966년 3월 19일 | PSC-CVP |
55 | 파울 반덴 보에이난츠 | 1966년 3월 19일 | 1968년 7월 17일 | PSC-CVP |
56 | 가스통 에이스켄스 (3기) | 1968년 7월 17일 | 1973년 1월 26일 | CVP |
57 | 에드몽 르뷔르통 | 1973년 1월 26일 | 1974년 4월 25일 | BSP-PSB |
58 | 레오 틴데만스 | 1974년 4월 25일 | 1978년 10월 20일 | CVP |
59 | 파울 반덴 보에이난츠 (2기) | 1978년 10월 20일 | 1979년 3월 3일 | PSC |
60 | 빌프리드 마르텐스 | 1979년 3월 3일 | 1981년 3월 31일 | CVP |
61 | 마르크 에이스켄스 | 1981년 3월 31일 | 1981년 12월 17일 | CVP |
62 | 빌프리드 마르텐스 (2기) | 1981년 12월 17일 | 1992년 3월 7일 | CVP |
63 | 장뤽 데한 | 1992년 3월 7일 | 1999년 7월 12일 | CVP |
64 | 기 페르호프스타트 | 1999년 7월 12일 | 2008년 3월 20일 | VLD |
65 | 이브 르테름 | 2008년 3월 20일 | 2008년 12월 30일 | CD&V |
66 | 헤르만 반 롬파위 | 2008년 12월 30일 | 2009년 11월 25일 | CD&V |
67 | 이브 르테름 (2기) | 2009년 11월 25일 | 2011년 12월 6일 | CD&V |
68 | 엘리오 디 루포 | 2011년 12월 6일 | 2014년 10월 11일 | PS |
69 | 샤를 미셸 | 2014년 10월 11일 | 2019년 10월 27일 | MR |
70 | 소피 윌메스 | 2019년 10월 27일 | 2020년 10월 1일 | MR |
71 | 알렉산더 데 크로 | 2020년 10월 1일 | (현직) | VLD |
6. 공식 집무실
벨기에 총리의 공식 집무실은 브뤼셀 중심부에 있으며, 브뤼셀 공원 주변의 여러 벨기에 정부 및 유럽 연합 건물들 사이에 있는 루 드 라 루아 16번지(네덜란드어로 Wetstraat, 번역하면 "법 거리")에 있다. 이 관저에는 벨기에 연방 내각, 총리실, 각료회의가 있어,[4] 벨기에 정치의 중추 역할을 한다. 이 건물은 원래 뢰벤의 거트루드 성녀 수도원이 "피난처"라고 불리는 곳으로 지어졌으며, 벨기에-오스트리아 건축가 루이 조제프 몽토이에가 설계했다.[4] 네덜란드 연합 왕국 시대(1815–1830)에는 외무부 소재지로 사용될 예정이었다.[5] 1830년 리뉴 공자 외젠이 매입했고,[6] 1944년부터 정부 소유가 되어 총리와 내각의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참조
[1]
간행물
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Ministers for Foreign Affair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2020-05-16
[2]
웹사이트
IG.com Pay Check
https://www.ig.com/u[...]
[3]
서적
Formation
[4]
뉴스
Wetstraat 16 – virtueel bezoek – de ingang – premier.fgov.be
https://web.archive.[...]
Aardse wetstraat, warandepark.blogspot.com
2007-12-15
[5]
문서
Wetstraat 16 – virtueel bezoek – de ingang – premier.fgov.be
https://web.archive.[...]
[6]
문서
Wetstraat 16 – virtueel bezoek – de hal – premier.fgov.be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